Contents

Node.js vs JVM 언어

백엔드 아키텍처 전반적인 차이

① API 서버 구조

관점 Node.js (비동기 이벤트 루프) JVM(Spring 등, 멀티스레드 기반)
요청 처리 방식 하나의 이벤트 루프가 요청을 받고, I/O가 완료되면 콜백을 실행 요청당 스레드 하나가 생성(혹은 스레드 풀에서 할당)되어 끝날 때까지 담당
I/O 처리 논블로킹 I/O (DB, 외부 API를 기다리지 않음) 블로킹 I/O (스레드가 대기)
주요 아키텍처 패턴 리액티브 (Reactive) / 이벤트 주도(Event-driven) MVC (Model-View-Controller) / 명령형(Imperative)
주요 프레임워크 Express, Fastify, NestJS Spring Boot, Micronaut, Quarkus

🧠 패러다임 차이 핵심:
Node.js는 “모든 걸 하나의 흐름에서 비동기로 처리한다
Spring은 “요청마다 독립적인 실행 단위를 둔다

→ Node는 작은 요청 수천 개, Spring은 무거운 요청 수백 개에 강함.


② 스케줄링 & 비동기 처리

항목 Node.js JVM(Spring 등)
백그라운드 작업 setTimeout, setInterval, worker_threads, 메시지 큐 (ex: BullMQ) @Scheduled, ExecutorService, Quartz 등
병렬 처리 싱글 이벤트 루프이므로 CPU 바운드 작업 시 worker thread 필요 스레드 기반으로 병렬 실행 가능
비동기 프로그래밍 async/await, Promise 기반으로 자연스러움 CompletableFuture, Mono, Flux 등 명시적으로 작성해야 함

🧭 차이의 본질:

  • Node는 이벤트 루프 내 비동기 작업 큐를 통해 흐름 제어
  • JVM은 스레드 풀을 통해 태스크 단위로 스케줄링

→ Node는 I/O 중심의 작업 스케줄링에 유리하고,
→ JVM은 CPU 중심의 병렬 연산 및 정기 배치 처리에 강함.


③ 에러 처리 전략

항목 Node.js JVM(Spring 등)
에러 처리 비동기 흐름에서 발생 → try/catch로 잡히지 않는 경우 많음 전통적 예외 전파 가능
공통 처리 방법 Express 미들웨어에서 전역 에러 핸들링 @ControllerAdvice or @ExceptionHandler
비동기 에러 처리 Promise rejection / 이벤트 에러 감시 필요 스레드마다 독립된 예외 처리 가능

🧠 핵심 차이:
Node.js에서는 **“이벤트 루프 하나에서 모든 에러가 공유”**되므로,
한 곳의 에러가 루프를 멈추면 전체 서버가 중단될 수 있음.

Spring은 요청별 스레드가 독립되어 한 요청의 실패가 전체 서버에 영향 없음.


④ 확장성(Scalability) 설계

항목 Node.js JVM(Spring 등)
수직 확장 (CPU 활용) 기본적으로 싱글 스레드 → cluster나 PM2로 멀티 프로세스 구성 JVM 자체가 멀티스레드 → 코어 수에 따라 자동 병렬화
수평 확장 (서버 분산) 컨테이너화/무상태 서버로 매우 용이 (가벼움) 스레드 풀, 세션, GC 등 고려해야 함
부하 분산 Nginx + Node cluster 구조 선호 Spring Cloud, Kubernetes 등으로 복잡한 마이크로서비스 운영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Node는 가볍고 빠른 MSA 구성에 강함 Spring은 비즈니스 중심 MSA에 강함
메모리 사용 적음 (가벼움, V8 기반) JVM 메모리 관리 복잡 (GC 튜닝 필요)

🧭 결론적으로:

  • Node.js는 “가볍게 많이 띄워서 분산”
  • JVM은 “한 인스턴스가 강력하게 버티는 구조”

→ Node.js는 API 게이트웨이, 리버스 프록시, 스트리밍 서버에 잘 맞고,
→ JVM은 비즈니스 로직 중심 대규모 백엔드에 잘 맞습니다.


정리 요약

항목 Node.js JVM(Spring 등)
실행 모델 싱글 스레드 + 이벤트 루프 멀티스레드 + 블로킹
패러다임 비동기, 리액티브 동기, 명령형
장점 높은 I/O 처리량, 빠른 응답, 경량 안정적, 병렬 연산 강함, 도구 생태계 풍부
단점 CPU 바운드 취약, 루프 블로킹 위험 메모리, 스레드 관리 비용
확장 전략 수평적 (여러 인스턴스) 수직적 (강력한 인스턴스)

요약 한 줄 철학

Node.js: “모든 건 이벤트로 흘러가고, 기다림은 없다.”
JVM(Spring): “요청마다 독립된 흐름을 만들어 안정적으로 끝낸다.”


이해하면 Node.js와 WebFlux의 차이가 훨씬 명확해져요.

🧩 먼저, 공통점부터 구분 명령형 비동기 선언형 비동기 공통점 둘 다 논블로킹 (I/O 기다리지 않음) 실행 시점 호출 즉시 안 돌아옴 — 나중에 완료됨 목적 CPU 낭비 없이 동시성 확보

즉, 둘 다 “기다리지 않고 다음 일로 넘어가는” 건 같습니다. 차이는 “비동기 흐름을 코드로 어떻게 표현하느냐” 입니다.

코드 구조 + 사고방식 비교

비즈니스 요구사항

사용자가 주문을 요청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1. 사용자 정보를 조회한다.
  2. 재고를 확인한다.
  3. 결제를 처리한다.
  4. 주문을 저장한다.
  5. 이메일을 발송한다.

Node.js (비동기 이벤트 루프 기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orderController.js
import { getUser, checkInventory, processPayment, saveOrder, sendEmail } from './services.js';

export async function createOrder(req, res) {
  try {
    const user = await getUser(req.body.userId);                 // 1️⃣ 사용자 조회
    const stock = await checkInventory(req.body.productId);      // 2️⃣ 재고 확인
    const payment = await processPayment(user, req.body.amount); // 3️⃣ 결제 처리
    const order = await saveOrder(user, req.body.productId);     // 4️⃣ 주문 저장
    await sendEmail(user.email, 'Order confirmed!');             // 5️⃣ 이메일 발송

    res.status(200).json({ order, payment });
  } catch (err) {
    res.status(500).json({ error: err.message });
  }
}

사고방식

  • 명령형 (Imperative):
    “이걸 하고 → 그 다음 저걸 하고 → 그 다음에 저걸 해라.”
    개발자가 실행 순서를 직접 지시한다.

  • 비동기 모델:
    await 키워드로 논블로킹 I/O 처리.
    이벤트 루프가 여러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 구조적 특징

    • 코드가 동기처럼 읽힘 (직관적)
    • 요청 단위로 컨텍스트가 단순함
    • 스레드가 아닌 이벤트 루프 1개가 모든 요청을 처리

Spring (멀티스레드 블로킹 기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OrderService.java
@Service
public class OrderService {

    @Transactional
    public OrderResponse createOrder(OrderRequest request) {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Id(request.getUserId())
                      .orElseThrow(() -> new RuntimeException("User not found")); // 1️⃣ 사용자 조회

        Inventory stock = inventoryService.checkStock(request.getProductId());    // 2️⃣ 재고 확인
        Payment payment = paymentGateway.process(user, request.getAmount());      // 3️⃣ 결제 처리
        Order order = orderRepository.save(new Order(user, request.getProductId())); // 4️⃣ 주문 저장
        emailService.send(user.getEmail(), "Order confirmed!");                   // 5️⃣ 이메일 발송

        return new OrderResponse(order, payment);
    }
}

사고방식

  • 명령형 + 동기적 (Synchronous, Blocking):
    “각 단계가 끝날 때까지 스레드가 기다린다.
    개발자는 순서를 지시하지만, 실행은 스레드 단위로 동기적으로 블로킹됨.

  • 멀티스레드 모델:
    요청마다 별도의 스레드가 할당되어 순서대로 작업을 처리한다.
    CPU 코어 수에 따라 동시 처리량이 결정된다.

  • 구조적 특징

    • 각 요청은 독립된 스레드 컨텍스트에서 실행됨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관리가 용이
    • 코드 가독성 높지만, I/O 블로킹 시 리소스 비효율 발생

구조 비교 요약

항목 Node.js Spring (JVM)
기본 모델 이벤트 루프 기반 싱글 스레드 멀티스레드 (요청당 1스레드)
비동기 처리 논블로킹, 이벤트 기반 블로킹, 스레드 기반
코드 스타일 명령형 비동기 (async/await) 명령형 동기 (절차적)
실행 제어 이벤트 루프가 제어 스레드가 순서대로 실행
동시성 처리 수천 개의 요청을 한 스레드가 처리 요청마다 스레드 생성
에러 처리 try/catch (비동기) try/catch (동기)
적합한 경우 I/O 중심 (API, 실시간 서비스) CPU 중심 (비즈니스 로직 복잡한 서비스)
병목 가능성 CPU 연산이 많은 경우 외부 I/O (DB, API) 응답 느릴 때

정리

Node.js

  • 하나의 이벤트 루프가 많은 요청을 처리
  • “대기하지 않고 다음 작업으로 넘어감”
  • 코드가 비동기로 동작하지만 동기처럼 읽힘
  • I/O 중심의 서비스에 강함

Spring (JVM 기반)

  • 요청당 스레드 생성 → 순서대로 실행
  • 한 단계가 끝날 때까지 스레드가 대기 (Blocking)
  • 트랜잭션, ORM,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에 적합
  • CPU-bound 연산에 강함

사고방식 요약

관점 Node.js Spring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비동기 이벤트 루프 멀티스레드 블로킹
실행 제어권 이벤트 루프가 관리 스레드가 순서대로 실행
개발자 사고방식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 콜백/await 실행” “이 메서드가 끝날 때까지 기다린다”
코드 형태 async 함수, Promise 기반 동기 메서드, 트랜잭션 중심
결과적 구조 차이 논블로킹 파이프라인 중심 아키텍처 트랜잭션 단위 계층형 아키텍처